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0%
반응형
누군가가 “스텐바이 해 주세요”라고 말하는 걸 들어본 적 있으실 겁니다. 순간 ‘대기하라는 말인가?’ 싶지만, 또 영화 촬영 현장이나 IT 장비 설명서에서 등장하는 스텐바이는 조금 다르게 쓰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텐바이 뜻을 일상, 방송·공연, 그리고 기술적 맥락에서 풀어보겠습니다.
스텐바이 뜻, 기본적인 의미
스텐바이(stand by)는 원래 영어에서 온 표현으로, 가장 기본적인 뜻은 ‘대기하다, 준비하다’입니다.
- “비상사태에 대비해 standby 모드로 들어간다”
- “스탭들은 촬영 시작 전까지 standby 상태에 있어라”
즉, 어떤 상황이 벌어질 것을 예상하고 곧바로 행동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를 가리킵니다.
일상에서 쓰이는 스텐바이
일상 대화에서는 “잠깐만 스텐바이 해”처럼 잠시 기다려 달라, 준비해 달라는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 친구에게: “지금 자료 찾는 중이니까 스텐바이!”
- 회의 전: “발표 자료 불러올 동안 다들 잠시 스텐바이 해 주세요.”
이처럼 부담 없이 “기다려 달라”는 말을 조금 세련되게 바꾸는 용도로도 활용됩니다.
방송·공연에서의 스텐바이
연극, 영화, 방송 현장에서 스텐바이 뜻은 매우 중요합니다.
- 감독의 구호: “스탠바이, 큐!” → 출연자와 스태프가 촬영 직전 대기 상태에 있음을 의미
- 공연 무대: 배우나 무대팀이 신호를 기다리는 상태를 스탠바이라고 부름
즉, 현장에서는 정확한 타이밍에 맞춰 준비하는 신호어로서 전문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IT·기술 분야의 스텐바이
컴퓨터나 전자기기에서 스텐바이는 조금 다른 의미로 쓰입니다.
- Standby 모드: 전원이 완전히 꺼진 상태가 아니라, 저전력 대기 모드를 뜻함
- 예: 노트북 덮개를 닫았을 때 화면은 꺼지지만, 최소 전력만 유지하는 상태
이 경우의 스텐바이는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다시 켜기 쉽도록 대기하는 모드를 의미합니다.
정리하며
스텐바이 뜻은 기본적으로 대기하다, 준비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맥락에 따라 일상에서는 ‘잠시 기다려’, 공연 현장에서는 ‘큐 사인을 기다려’, IT에서는 ‘절전 대기 모드’라는 식으로 달라집니다. 결국 핵심은 “곧 행동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라는 점입니다.
스텐바이와 웨이팅(waiting)은 같은 말인가요?
유사하지만 뉘앙스가 다릅니다. 웨이팅은 단순히 기다리는 상태라면, 스텐바이는 준비가 완료된 채 기다리는 의미가 더 강합니다.
일상 대화에서 스텐바이 대신 쓸 수 있는 말은?
“잠시만요”, “기다려 주세요”, “준비해 주세요”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