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0

터트리다 터뜨리다 둘 중 1개만 표준어입니다.

한국어는 소리와 의미가 비슷한 단어가 많아 혼동하기 쉬운데요. 그중에서도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터트리다 터뜨리다입니다. 둘 다 귀에 익숙한 말이지만, 정확한 맞춤법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표현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터트리다 터뜨리다 기본 개념먼저 두 단어 모두 기본형 ‘터지다’와 ‘터뜨리다’에서 파생된 표현입니다.터지다: 저절로 벌어지거나 깨지는 상태를 의미하는 자동사터뜨리다: 외부의 힘에 의해 무언가를 의도적으로 터지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타동사여기서 ‘터트리다’는 ‘터뜨리다’의 구어체 형태, 즉 실제 회화나 일상에서 편하게 줄여 부르는 말입니다..

일상단어 2025.04.16

베개를 베다 배다, 이제 헷갈리실 일이 없습니다.

글을 쓰다 보면 베개를 베다 배다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특히 글을 자주 쓰는 분들이나 아이 교육을 하는 부모님들, 또는 언어를 공부하는 분들에게 이런 혼동은 자주 발생하는데요. 오늘은 이 표현의 정확한 사용법과 ㅁ함께, 쉽게 외울 수 있는 팁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제부터는 고민 없이 정확하게 쓰실 수 있습니다.베개를 베다 배다 중 맞는 표현은?가장 먼저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입니다. ‘베개를 베다 배다’ 중에서 맞는 표현은 베개를 베다입니다. 이 표현에서 사용된 ‘베다’는 머리 아래에 무언가를 받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자면서 머리를 올려두는 물건인 베개는, 바로 그 ‘베다’라는 동작과 연결됩니다.반면 ‘배다’는 냄새나 액체 등이 스며드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단..

일상단어 2025.04.15

피부양자 뜻 정확히 이해하기

건강보험이나 사회복지 제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 처음 접하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피부양자 뜻입니다. 특히 직장 가입자의 가족이 보험 혜택을 함께 받을 수 있는 구조를 이해하려면 이 단어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피부양자의 의미,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지, 그리고 구체적인 예문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피부양자 뜻, 한자어 풀이로 정확히 이해하기‘피부양자’는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글자에 명확한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이를 하나씩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피(被): ‘입을 피’ 자로, 영향을 받거나 어떤 상태에 처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법률 및 제도 용어에서 수동적인 입장의 주체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부(扶): ‘도울 부’ 자로, 경제적 또는 생활적으로 누군가를 ..

일상단어 2025.04.13